분과회

테이핑요법

-

천 테이프로 근육을 회복시키는 요법


테이핑요법이란?

약물이 처리리되어 있지 않는 탄력 또는 비탄력의 천 테이프를 근육의 결을 따라 피부에 부착하여 증을 감소시키고 근육의 긴장도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어강, 2000).
즉, 약물 처리가 전혀 없는 특별한 테이프를 피부에 부착시킴으로써 피부에 흐르는 전자기적인 흐름을 조절하는 자연의학의 한 분야로 근육과 근막의 손상을 회복시켜주고, 혈액순환과 임파순환을 원할하게 해주며, 내장기의 기능을 바로잡아주고, 경락의 흐름을 조절하여 생체 에너지의 균형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

테이핑 요법의 원리

1) 심전도와 뇌파검사
테이핑 요법의 치료적 근거는 생리학적,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 인체의 안과 밖은 전자기적인 흐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인체 내부의 전기적 현상을 피부에서 측정하는 것은 인체의 온몸은 항시 미세한 전자기적인 흐름에 의해 안팎으로 조절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예로 심전도와 뇌파검사가 있다. 이러한 전자기적은 흐름을 피부로부터 조절함으로써 근육과 내장기 조절함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테이프이다. 테이프는 붙어있는 한 계속 작용하게 되어 지속효과(summation effect)가 있는 장점이 있다. 테이핑 요법은 현대의학을 기초로 한 보완요법의 한 분야이며, 기존의 물리치료 혹은 주사요법 등의 치료적 한계를 보완해 주는 데 매우 유용한 요법이다.

2) 근방추
피부에 특정한 자극을 가하면 생리학에서 말하는 감마운동반사에 의해 자극 받는 피부 바로 밑에 있는 근육이 부드럽고 가벼운 생리적 수축을 일으킨다. 즉, 근육의 최소단위인 근방추(muscle spindle)로부터의 운동신경섬유가 발동되는 것이다. 피부의 특정한 자극이란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서도 테이프의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3) 체성 내장기 반사궁
인체는 피부나 근육으로부터 내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내장이에서도 피부와 근육에 영향을 주는 기전을 갖고 있고 이것을 생리학에서는 체성 내장기 반사궁(viscero-somatic reflex)이라고 한다.

4) 연관통
간, 담낭 질환시 등이나 어깨통증, 그리고 심잗이 안 좋을 때 좌측 팔의 내측을 따라 통증이 전달되는 연관통은 내장과 피부, 근육이 서로 소통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해 준다. 테이핑은 피부를 통해 근육이나 내장기의 전자기적인 밸런스를 줌으로써 자연회복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이다.

테이핑 요법의 적용시 고려사항

  1. 환자가 느끼는 느낌을 파악한다.
  2. 자세의 법칙
  3. 접촉검사
  4. 동작 분석 : 작용근 분석, patrick&cyriax test, holding-extension test

주요 적용 부분

  • 근골격계 : 발목 염좌, 손목 염좌, 요통, 목의 통증, 어깨의 근육통, 무릎 관절통, 다리통증, 고관절통 등 감기, 기침, 비염, 축농증, 알레르기 비염, 위하수, 위염, 생리통, 변비, 설사 등
  • 내과계 : 발목 염좌, 손목 염좌, 요통, 목의 통증, 어깨의 근육통, 무릎 관절통, 다리통증, 고관절통 등 감기, 기침, 비염, 축농증, 알레르기 비염, 위하수, 위염, 생리통, 변비, 설사 등

테이프의 종류

(1)탄력 테이프
가장 흔히 보는 테이프로, 탄력성이 있으며 근육테이핑에 가장 많이 쓰는 테이프로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테이핑시 늘려 붙이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2)비탄력 테이프 및 격자 테이프
근육의 운동점이나 경혈 혹은 아시혈에 붙이는 용으로 탄력성이 없다. 탄력 테이프에 비해 알러지가 심한 편이므로 알러지에 대한 전 처치를 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다.

테이핑 시 주의사항

  1. 테이프를 늘려 붙이지 않는다.
  2. 최대한 붙이는 부위를 늘려 놓은 상태에서 테이핑을 한다.
  3. 피부가 약하거나 민감한 환자들에게 테이핑 할 때나 복부 혹은 목 전면부 같이 상대적으로 신체에서 예민한 피부 부위에 테이핑을 할 때에는 알러지가 발생되는지 미리 확인한다.

적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