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과회

단전호흡

-

수련한 만큼 얻게 되는 심신 건강법



단전호흡이란?

동양에서는 기(氣)를 생명의 근원으로 보아 기(氣)가 모이면 건강이 증진되고 기(氣)가 흩어지거나 평형을 상실하면 불건강 해진다고 하였다. 이 기를 모으는 방법이 단전호흡(丹田呼吸)이다. 단전호흡은 행공(行功)중심의 호흡수련법으로 500여 가지의 행공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공을 통해 몸의 모든 근육과 내장기관을 자극, 기혈의 흐름이 원활해지며 사람의 몸 속에 내재된 생명력이 활성화되어 건강이 증진되며 질병을 예방하고 퇴치할 수 있다. 단전호흡은 강력한 심신 건강 수련법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몸의 상태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수련할수 있으며 수련한 만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실리적이 수련법이다.

단전호흡의 기원

  1. 중국은 전국 말기에서 진한대에 이르면 신선술을 추구하는 방사(方士)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장사 마왕퇴 한묘 백서 도인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물의 모양을 본떠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자 한다. 이후 도교도들에 의해 양생법이 체계화되어 오늘의 기공에까지 이른다.
  2. 이능화의 [조선도교사]에 의하면 단군이 바로 단전호흡 수련을 한 사람이고, 단전호흡 수련의 본산이 우리나라이며, 황제를 거쳐 중국에 전해졌다고 한다.
  3. 국선도에서는 9700여 년 전 하늘함(ᄒᆞᆷ)도인으로부터 단전호흡법이 시작되어, 1967년 청산선사가 이를 세상에 공개하였다고 한다.

단전호흡 수련의 특징

  1. 몸을 고르는 행공, 조신(調身)
  2. 숨을 고르는 호흡수련, 조식(調息)
  3. 마음을 고르는 수련, 조심(調心)

단전호흡 수련의 원칙

  • 호흡비용(呼吸鼻用)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코를 통해 숨을 자연스럽게 쉬라는 것이다.
  • 세세(細細)흡입(吸入)하고, 부드럽고 고르고 깊게 숨을 들여 마시고
  • 세세호출(細細呼出)하여, 유연하고 천천히 조용하며 길게 내쉬라는 것이다.
  • 정중행공(靜中行功)하라. 고요한 가운데서 마음을 단전에 모아 동작을 하라는 것이다.
  • 조식호흡(調息呼吸) 모든 동작은 의념과 호흡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단전의 의미

단전이란
하늘, 땅 기운이 우리 몸에서 만나 이루어진 자리란 뜻이며 상단전(上丹田), 중단전(中丹田), 하단전(下丹田)의 삼단전(三丹田)으로 나누어진다.
상단전은 인간의 지적(知的)인 작용의 중심인 뇌(氣), 중단전은 희로애락의 중심인 마음자리 심장(神), 하단전은 좌우 양 신장 사이의 기운이 모이는 자리인 배꼽 밑 세치 정도 밑부분을 말한다(精).
단전호흡에서 말하는 단전은 정(精)을 충만하게 하는 하단전을 말한다.
하단전은 호흡을 통하여 들어오는 하늘의 기운(天氣)과 곡식 등 음식을 통해 들어오는 땅의 기운(地氣)이 내 몸에서 만나 생명력을 충만하게 해주는 조화의 자리이다.
해부학적 단전(丹田) : 어느 한 지점을 가르키는 것이 아니고 배꼽밑의 3촌 지점에서 등쪽으로 향해 4촌되는 원부분을 말한다. 몸의 가운데 위치하여 天氣와 地氣가 만나는 곳이며 배꼽 세 치 아래에 위치한다. 백회와 용천 중간에 양 신장에 의지해 매달려 있으나 호흡을 할 때는 치골뼈 바로 위의 가장 말랑말랑한 곳에 의식을 집중하고 을 이곳까지 깊이 들여 마신다.

바른 호흡법

행공(호흡법) : 우주적인 원기와 인체의 기가 상통하는 길은 오직 호흡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