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과회

경락자극요법
-
자극으로 시작되는 인체와의 연결 통로
경락자극요법이란?
전신의 기혈을 운행하고 장부와사지 관절을 연락하고 상하 내외를 연결시키는 통로이다. 인체에서 생명의 기본 물질인 기혈 및 진액의 운행 통로 경맥과 낙맥의 총칭이다. 인체의 주간으로 종회하여 비교적 삼층에 분포된 것이 경맥이고, 경맥의 분지로 회행, 시행하여 비교적 표층에 분포된 것이 낙맥이다. 경맥고 낙맥을 이루고 흐르고 있는 에너지를 기혈이라 하는데 이는 성양의학의 순환게, 신경계와는 다르다. 경혈이란 경락자극요법의 줄기에 있으면서 에너지의 흐름이 정체되기 쉬운 것을 말한다. 경혈은 14경맥에 속해있는 혈로 모두 361개가 있으며 병이 생겼을 때 이 경혈에 자극을 주어 치료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경락자극요법의 철학과 역사
BC 200년경에 쓰여진 <황제내경침구편>에 기록되고, 유럽인들은 경락자극요법이 지구의 자오선과 비슷하다고 보아 "메리디언(meridian)"이나 "통로(channel)"라 부르기도 하였다. 경락자극요법의 원리는 한의학 이론의 기초인 기와 음양학설에 근거된다. 경락자극요법 학설은 한의학의 가장 중요한 이론체계의 하나로 한의학의 기본이론인 음양, 오행, 장부, 영위, 기혈이론과 치료등 각 분야에 걸쳐 이론과 실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경락자극요법학설은 인체경락의 생리기는, 병리변화, 및 장부와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설이다
경락자극용법의 적용원리
경락자극요법의 생리적 기능은 인체의 외부와 내부, 상부, 하부 및 오장육부를 연결하고 있어, 생명의 기초물질인 기혈과 진액을 운행시키고 각 신체의 조직들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한다. 경락자극요법은 각종 치료의 전달통로로 경락 상에 분포된 예민한 부위인 경혈을 자극하거나 경락자극요법상의 기혈의 순환을 조절하여 해당 장부의 질병을 치료하게 된다. 즉, 경락자극요법은 기혈을 운행시키고 신체를 자양하는 작용을 하며, 인체의 이상을 반영하는 작용을 하며 병사나 침구 자극 등을 전도하는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경락은 인체내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적 변화 및 상호간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이론적 토대가 되며,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도 응용되어진다.

주요경락자극요법
- 임맥 : 몸 정가운데 앞선으로 음부에서 아랫입술까지 위로 올라간다.
- 독맥 : 몸 정가운데 뒷선으로 음부에서 머리 꼭대기로 올라가 다시 윗 입술로 내려온다.
- 음경(음경)배 부위와 손, 발에선 안쪽 부분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
- 양경(양경)머리와 등 부위로 손 발에선 바깥쪽 부분 위에서 아래로 내려간다.